김희정  Kim Huijeong

 

개인전

2021 <The Hitchhiker's Guide To Utopia, ver2> 누루미술관, 밀양

2021 <달에 사는 토끼> 공간서울, 서울

2020 <유토피아를 위한 조각과 수집> 갤러리 오모크, 대구

2020 <The Hitchhiker's Guide To Utopia> 갤러리 아노브, 서울

2018 <0의 상태에서> 壹品艺术空间, 중국 항저우

2017 <기기묘묘 起奇妙妙> 범어아트스트리트, 대구

 

단체전

2019 <axis 2019> 021 갤러리 , 대구

2019 <여름이 지나도 우는 매미> 세종아트갤러리, 서울

2018 <경계의 시야> 갤러리 토마, 대구

2018 <monster;기억의 저편> 수창청춘맨숀, 대구

2018 <水墨马头、意趣沧桑> 宁波奉化区裘村镇马头村, 중국 닝보

2018 <서상동 프로젝트7> 보물섬, 대구

2017 <어떤 전야제> 합정지구, 서울

2017 <당신의 숨결마다> 수창청춘맨숀, 대구

2017 <두드림> 대구학생문화센터, 대구

2017 <<卒>전> 합정지구, 서울

외 단체전, 페어 7회

 


 

<없는 장소>, Lenticular (edition 2/10), 400 x 400mm, 2022
<없는 장소>, Lenticular (edition 2/10), 400 x 400mm, 2022
<없는 장소>, 한지에 혼합 안료, 2000 x 1100mm, 2022

 

유토피아('없는ou-','좋은eu-'+‘toppos(장소)’의 중의적 의미)라는 개념에서 비롯된 <없는 장소>연작을 하고 있습니다.

존재하지 않는 것을 바라는 갈증과 실재하는 것들의 허망에 대해 작업으로 풀어내려 합니다.

하지만 좌절하며 쉬는 한숨 따위를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

라 현실을 유희하려는 시도이자 자신에게는 이상향(∴없는)이 되어버린 세계에 대한 탐구입니다.

 

실제 장소나 대상이 없이 상상으로 이루어져 꿈과 과거를 회상하듯 모노톤의 낯선 풍경을 마주하게 됩니다.

그러한 모노톤의 표현을 위해 검정(Black)이 아닌 나무를 태워 만드는 먹과 목탄을 주로 사용합니다.

또한 먹이라는 재료가 강조되면서 자연스레 최소한의 색만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빛이 없어 본연의 색을 내지 못하는 듯 공간의 기묘한 분위기를 연출합니다.

공지수  Kong Jisu

 

2019.10  네이버 그라폴리오 사진공모전 당선 및 연재

2021 ~  Schneider Kreuznach B+W Korea Ambassador

2021.08  서울문화재단, 시민청 도시사진 전시 참여

2021.09  공주 로컬 디자인 프로젝트 사진 전시<Infrared record>

2021.09  mlm프로젝트_愛 '당신에게 사랑이란?' 인터뷰 사진 전시

2021.11  공주 로컬 디자인 페스타 사진 전시<Infrared record ~ Infrared memory>

 


 

<Infrared Memory 2>, Pigment ink on Hahnemuhle Photo Rag Baryta 315gsm, Print 900 x 900mm, 2021

 

 

<Infrared Memory 3>, Pigment ink on Hahnemuhle Photo Rag Baryta 315gsm, Print 900 x 900mm, 2021

 

현실이라는 말의 기준은 개인이며, 오감으로 인지할 수 있어야 한다.

우리는 적외선 풍경의 색을 비현실적이라고 생각한다.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는 동물이 있을지라도,

그것이 실제로 존재하는 파장일지라도.

현실과 비현실은 한 끗 차이다.

비현실적인 꿈을 현실로 실현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이들에게 ‘나’를 기준으로 무신경한 소리하지 않도록.

 

위 작품은 개조한 카메라와 필터로 사람이 볼 수 없는 빛의 파장 영역인 적외선을 담았다.

류호식   Ryu Hosik

 

P : 010 9368 1274   

E : y4k0828@naver.com

 


학 력
2021 홍익대학교 대학원 도예과 졸업
2018 경일대학교 생활디자인과 졸업

개인전
2021 With Hope  /  AREA6 gallery / 부산 / 한국   

그룹전 
2022 자연주의 / United gallery / 서울 / 한국
2022 Art Vacation, 安 gallery, 인천, 한국
2022 들여보다. / TYA서촌 / 서울 / 한국   2021 Between  /  MEME gallery / 서울 / 한국  
2021 Korean Ceramic Pavilion at Fine Art Asia  / 주홍콩한국문화원 /  홍콩
2021 우리의 자리는 우리가 만든다  /  www space / 서울 / 한국  
2021 미얀마의 봄  /  스페이스 사랑농장 / 김해 ./ 한국
2020 아시아 국제 도자 교류전   /  클레이아크 미술관 / 김해 / 한국
2020 ~ 2021 Life of P.i  / 카페 P.i / 울산 / 한국

레지던시, 워크숍
2022  고흥 분청문화 박물관 / 고흥 / 한국
2019 겨울 국제 도예 캠프 / 김해 / 한국

 


 

<분청 소나무>, Ceramic, 400 x 400 x 2000mm, 2022
<분청 소나무>_디테일 컷
<분청소나무>_디테일컷

우리나라의 전통 도자기 중 15세기를 대표하는 분청사기의 태토인 분청토로 제작한 작품이다. 

이를 paper clay로 재 재조하여 계획하였으며, 

분인의 작품세계에서 만고산청을 뜻하는 소나무를 작품의 제목으로 정하였다,
한 그루 나무가 지닌 무한한 생명력 처럼 본인이 꿈꾸는 이상향이 오래도록 머무르길 바라며, 

작품이 이를 상징하는 크고 숭고한 기념비가 되길 바란다. 

 

<선기둥>, Ceramic, 380 x 380 x 340mm, 2022
<선기둥>_디테일 컷

선기동은 본인이 자란 고향 동네이름이며, 그곳에는 아직 사랑하는 사람들이 살고 있다.  

'집' 기호를 활용해 페이퍼 클레이로 제작한 단색의 바위 질감 속에 실제 이끼와

아주 작은 미니어쳐 사람의 대비를 강조해 표현하였다.

 

<hope cave>, Ceramic, 600 x 240 x 500mm, 2022
<hope cave>_디테일 컷

저의 작품 세게에서 이상향으로 가는 여정의 시작을 뜻한다.
따뜻한 빛, 편안한 자연, 은은한 향과 같이 우리를 머물게 하는 이상적인 일상들 속에서 영감을 받습니다. 

자연의 인상, 사랑하는 사람들, 그들과 보낸 시간과 서로 나눈 정서. 

언젠가 사라질 모든 아름다움이 흙으로 표현되고 고열을 거침으로 영원히 간직되길 바라고 또 바란다..
사실 변하는건 언제나 일상의 대상이 아닌 우리의 마음이다.
자연이 아름답게 보이는건 내 마음이 집(고향)에 머물 듯 편안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인이 추구하는 것은 만고산청한 자연과 같은 나의 마음이다.
자연스러움을 담은 hope cave에 피어난 Daisy가 봄을 알리듯 

우리의 희망찬 일상도 은은한 향과 같이 오래도록 머물길 소망한다.

 

<대청호 in paradise>, Ceramic, 480 x 590 x 30mm, 2022
<대청호 in paradise>_디테일 컷

대전 대청호의 여러 풍경을 찾아보고 여러 시간 속에 머무르는 그곳의 아름다운 풍경을 개인적인 시각으로 제작하였다.

 

<작가 소개>

 

안녕하세요 한국화 작가로 활동하고 있는 김다윤입니다.

저는 캔버스와 천 사이의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삶의 형태는 오늘이라는 시간이 짜여져 만들어진 천과 같아서 규격이 정해지고 형태가 일반적으로 정해져있는 캔버스보다는 천을 이용해 수많은 오늘이 쌓여 만들어내는 각기 다른 삶의 형태를 그리는 작업을 진행합니다.

 

 

 


 

 

나도 모르는 사이 자연스럽게 일상 속에 겹치는 순간을 의심 없이 무던히 흘려보냈을지도 모릅니다.

아무리 많은 마음과 시간을 쏟아 붓고, 많은 대화를 주고받았던 수많은 밤과 낮은 관심을 주지 않으면 무의미해지기 십상입니다.

우연히 맴도는 향기에 뒤를 돌아보듯, 귀에 익어 익숙하게 흥얼거리는 노래가사처럼, 찰나이지만 영원을 남기는 순간과 관계를 작업하였습니다.

 

 무릇 우리의 삶은 여러 컷들이 모인 영화와 같기에 모든 순간, 모든 관계를 기억할없을 것입니다.

일기장에 빈칸의 날보다 빈칸하나 없이 채워진 날들 역시 존재하겠지요.

그러나 저는 일기장의 빈칸과 같은 날이 계속되길 바랍니다.

빈칸 가득 써내려간 꾹꾹 눌린 감정들보다 빈칸의 날들이 오히려 채워져 있을지도 모릅니다.

빈칸이지만 채워진 날들의 감정과 관계가 훨씬반가움으로 서로를 맞이하길 바랍니다.

 

 작품마다 반복되는 일상과 친숙한 환경에서 무던히 흘려보냈을 많은 순간을 작가의 경험으로 이루어진 공간,

혹은 누구에게나 익숙할 것만 같은 상상의 공간을 만들어 내었습니다.

일상무던히 흘려보낸 많은 마음과 시선을 나눈 밤과 낮의 시간을 공감할있는 단편의 스토리로 그려내어 익숙한 일상의 순간을 담았습니다.

 

 

 


 

[전시 작품]

 
 

낙하, 캔버스 위에 혼합재료, 162.1x50, 2019

 

낙하, 캔버스 위에 혼합재료, 162.1x50, 2019

 

 


 

 

낯선 사람과 이름, 캔버스 위에 혼합 재료, 72.3x60,&nbsp;2021

 

 


 

 

여름이었다 1, mixmedia on canvas, 145.5x97.0cm, 2021

 

여름이었다 2, mixmedia on canvas, 145.5x97.0cm, 2021

 

여름이었다 3, mixmedia on canvas, 145.5x97.0cm, 2021

 

 


 

 

젖어드는새벽, 캔버스 위에 혼합재료, 116.8x91.0cm, 2021

 

 


 

 

세 사람1, mixmedia on canvas, 90.9x72.7cm, 2021
세 사람2, mixmedia on canvas, 90.9x72.7cm, 2021

 

 


 

 

서툴렀기에 행복한 자화상, 천위에 혼합재료, 155x83, 2022

 


 

 

가을의 새벽을 껴안다, 천위에 혼합재료, 155x83, 2022

 

 


 

 

끝없는 한낮 속에서 우리는, 천위에 혼합재료, 155x83, 2022

 

 


 

 

시선 끝에 판단은 올바른가, 천위에 혼합재료, 155x83, 2022

 


 

우리는 영원히 우리로 기억되기를, 천위에 혼합재료, 155x83, 2022

 


 

 

단정하고 절박한 꼭 그런 대화, 천위에 혼합재료, 180x83, 2022

 

 


 

 

그러지는 말고, 천위에 혼합재료, 77.5x83, 2022

 

 


 

 

오래된 흔적, 천위에 혼합재료, 77.5x83, 2022

 

 


 

 

한번에 몰아치지 않고 오래도록, 천위에 혼합재료, 77.5x83, 2022

 

 

 


 

 

작가노트

 

 

 매일 우리를 찾아오는 오늘의 관계 속에서 많은 것들을 잃고 얻는 상호 작용은

방향과 상관없이 우리를 비우거나 채운다.

시간의 존재는 이미 희미하고 화면 속에 잡아낸 것은 순간순간을 애써 모아감정의 기록이다.
회전하고 중첩된 이미지 사이에서 도출되는 장면들은 정리되지 않은 점에서 불안함을 상기시킬있지만,

그런 조각들을 붙들고 살아가야만 이어질있는 것들을 위해 우리는 돌아보고 싶지 않은 것을 돌아보고,

속에 조그마한 위로를 찾으며 나아간다.

 

 나의 작업들은 대상을 그리기 보다는, 순간을 기록하는 것이다.

일상에서 겪게 되는 크고 작은 사건들, 본인의 경험과 기억, 그리고 기억을 토대로 만들어지는 순간에 대한 관심이 있다. 간헐적으로 찾아오는 개인과 사회 간의, 유년기와 현재의 그리고 현실과 이상에 대한 괴리간의 불안정한 감정을 공유함으로서 일상의 사소하지만 소중한 순간을 상기시키는 서사를 만드는 것을 작업의 주축으로 삼고 있다.

 

 

 작가의 시각으로 그림을 그리게 되면서, 나는 내가 맞이하는 현실의 순간에 주목하게 되었다.

내가 보는 것과 동일하게 펼쳐지는 것은세상에 없다.

각자의 시선 끝에 다다른 현실은 모두가 다르게 인지한다.

작가는 주변에 존재하는 순간을 캔버스에 옮기고,

작품이 만들어내는 공감의 정서를 통해 사람들의 마음을 서로 연결하고자 한다.

그렇기에 나의 작업들은 사람과 사람의 마음이 모이는 공간으로 순간의 단면이 아닌 작가와 감상자의 기억이 교차하는 특별한 지점으로서 자리하길 바란다.

 

 


 

 

작가소개 :

내 작품으로 많은 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싶다. 나의 이야기와 경험들이 그림의 소재가 되고,

그 소재들과 나의 상상력이 나의 작품이 된다.

탄생한 작품을 보는 모든 사람들에게 마음속에서 새싹이 피어나듯 간질간질한 무언가를 주고 싶다.

본인이 가지고 있던 감성, 영감, 능력들이 더욱 커지고,

자신이 알지 못 했던 다른 감정과 새로운 영감, 능력들이 싹을 틔울 수 있게 하고싶다. 

나의 작품을 보면서 위로가 될 수도, 이야기가 떠오를 수도, 작품의 다음 장면이 떠오를 수도 있다.

많은 사람들에게 내 작품이 많은 이야깃 거리가 되고,

행복하거나 슬플때 찾아보게 되는 그런 움직이는 그림이, 작품이 되길 바란다.

 

 

 

 

 

이별가, 90.9*72.7, 한지에 수묵담채, 2021

 

작품설명 :

 

<약혼을 맺고 떠난 님을 기다리며...>

 

춘향과 몽룡은 첫만남에 깊은 사랑에 빠져 백년가약을 맺는다.

그러던 중 몽룡과 춘향은 잠시 떨어져 있게 되는데, 그동안 춘향이 몽룡을 그리워하는 모습을 그렸다.

변학도에 춘향의 아름다운 외모가 보이지 않도록 눈 밑을 두건으로 가리고 뽀오얀 비녀를 꽂았다. 

사랑을 담은 그들의 집을 분홍빛으로 칠하고 춘향의 그리움과 외로움을 담은 푸른빛의 한복을 입었다.

 

靑花, 원다예

 

작품 설명 :

 

마음 속에 푸른 꽃이 떠 있고 그 주위를 하아얀 가오리가 날고 있다. 꽃은 예쁘지만 힘 업이 꺾이거나 뽑혀지곤 한다.

그렇지만 마음 속에선 산처럼 크고 굳건히 떠 있는 자리를 지키고 있다.

가오리는 오로지 바다 속에서 헤엄치고 물 속 풍경밖에 보지 못하지만

마음 속에서는 여러 색도 보고 다른 풍경도 보고 날 수 조차 있다.

 

이렇듯 나의 그림을 보며 많은 사람이 틀 속에만 서있지 말고 본인을 다시 보고

다양하고 무궁무진한 꿈을 꾸었으면 하는 바람이 담겨있다.

 


 

언니의죽음(My sister dead), Oil on canvas, 72.7 x 72.7, 2021

 

 

 이제껏 내가 느껴왔던, '사랑'이라는 감정을 가장 잘 보여준 존재는 '언니' 다.
조건 없이 무한한 사랑을 보여주는 언니 덕분에 지금 내가 살아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얼마 전 언니와의 여행 중 기묘한 해변을 발견했다.
돌과 물이 특이하게 어우러져 있는 풍경은 마치 우리 자매가 초현 실 세계에 살고 있는 듯 느껴졌다.
나는 현실과 동떨어져 있는 듯한 이 해변에서 죽음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다.
 
나는 무주건 언니보다 하루 전 날 죽고 싶다고 생각한다. 
내가 언니보다 늦게 죽으면, 정말 정말 슬플 것 같기 때문이다. 
평생 나를 챙겨주던 사람이 단 하루라도 없는 것은 너무나도 괴로운 일이다. 
나는 죽을 때 까지 이기적인 동생인가보다. 언니는 언니니까 내가 먼저 죽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왜냐면 언니는 내가 힘들어 하는 것을 보기 싫을테니까.
하늘에서 내가 먼저 기다리고 있으면, 언니가 오는 날 재밌게 놀 상상을 한다. 우리 자매 모두에게 좋은 것이다.
 
나는 언니의 사랑과 죽음을 동시에 생각하면서 우리의 어릴적 이미지와 현재의 이미지,
 또 우리가 함께 예쁘다고 생각한 이미지들을 한 공간에 담고 싶다고 생각했다. 
서로 다른 이미지들이 한 군데에 어우러져 내가 기묘한 해변에서 느꼈던 초 현실성, 사랑을 느낄 수 있다. 

그림을 보는 사람도 이를 느껴 죽음과 사랑에 대해 재고할 수 있는 시간이 되었으면 한다. 

愛花園, oil on canvas, 162.2x130.3, 2021

 

사랑을 말하는 문장 두 개에서 모티브를 따왔다.
‘내가 바라는 것을 강렬하게 사랑하면 어느새 그건 나의 일부가 된다.’와
투투의 <일과 이분의 일> 가사 중 ‘하나일 때보다 난 외롭고 허전해. 니가 가져간 나의 반쪽 때문인가.’를
차용하여 사랑을 설명한다.
사랑은 갈망하며 얻는 상대의 일부가 나의 것이 되는 것(구조),
사랑을 통해 나의 일부를 주는 것(해체)의 반복이다.

 

사랑의 정원에서는 삶을 매개체로 모든 사물의 해체와 구조가 이루어진다.
정원의 중심부에서는 알을 깨는 것이 아닌 찢고 나오는 사람, 즉 작가 본인이 탄생하고 있다.
인물과 정원 요소들의 일부가 치환된 점이 사랑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정원 곳곳에서는 관람자의 기시감을 이끄는 물체들이 있다.

 

빛의 정원-파스타짜넘, acrylic on canvas, 53×65.1, 2021

 


일상속에 스며들다-글로리오섬, acrylic on canvas, 53×65.1, 2021

 

 

작은 초록의 움직임이 일상속에 평안하게 빛으로 스며든다

 

 

A시리즈 : 찰나이며 영원하기에 나를 슬프게 하는 것들

 

 

당신이 사랑이 무엇이냐 물었을 때
마땅한 답이 생각나지 않아서
내 사진첩을 고르고 골라
이제야 당신께 보냅니다

 


 

B시리즈 : 찰나이며 영원하기에 나를 슬프게 하는 것들

 

 

 

 

 

 

 

 

 

 

 


C시리즈 : 찰나이며 영원하기에 나를 슬프게 하는 것들

 

 

 

 

 

 

 

 

 

 

 


D 시리즈 : 파도와 사랑 - 끊임없이 부서지고 자꾸만 반복되는, 울컥 차올랐다가 어느새 밀려나가는 감정들

 

 

 

 

 

 

 

 

 

 

 


E시리즈 : 우리는 살기 위해 사랑을 하는구나

 

 

 

 

 

 

 

 

 

 

 

사진 계정 @da_h_photo 
작가 본계정 @da_h_yeaah

 

뒷모습, acrylic on canvas, 72.0x60.6, 2021

 각자에게 맞는 사랑의 크기와 형태가 다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