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st : 서어진

2019 단국대학교 서양화과 재학 중

 

-그룹전

2022 <다색[ ]화>, 경기내일스퀘어안산 상상대로

2022 57km, 단국대학교 예술대학 전시장

2021 제50회 구상전 공모대전, 인사아트 프라자 갤러리 4-5층 서울

2021 무생물성, 온라인 전시

2020 견뎌야하는 우리에게, 온라인 전시

 

-수상

2021. 제 50회 구상공모대전 입상

 

 

<작가노트>

 

서어진은 흐린 밤 풍경에서 오는 다양한 감정을 통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밤 풍경 속 어두움과 빛을 통해 생성되는 환영을 탐구한다.

작가는 야경을 통해 뚜렷하지 않은 시야에서 오는 불안한 감정들을 생각의 전환을 통해

전체적인 아름다운 야경을 마주하게 되고, 부정적인 감정에서 다양한 긍정적 감정을 느끼게 된다.

이후, 당시의 감정을 토대로 흐릿한 밤 풍경을 화면에 전면적으로 나타내는 작품을 표현하고 있다.

작가는 캔버스 안에서 작가가 의도한 흐릿한 밤 풍경들과 적절하게 오묘한 빛들을 나타낼 수 있는

에어브러쉬를 도구로 사용한다. 분사 도구를 통해 정확하지 않은 형태의 빛을 표현하고,

그 빛은 노출 정도에 따라 감정에 개입하거나 자체로서 현상한다.

밝은 색감의 빛을 포인트로 시선을 집중시키고 다양한 색채의 덩어리들은 뭉쳐지거나 혹은 흩어진다.

이는 환영으로서 존재하며 작품 안에서 어두움과 빛이 혼재하는 착시의 세계를 보여준다.

작품을 통해 한쪽에만 시야를 두고 불안감을 떨칠 수 없는 청춘들에게 더 나은 세상을 바라보길

바라며, 다양한 감정의 변화를 관객이 간접적으로 경험하도록 유도한다.

 

 

<작품설명>

 

서어진의 `시야의 전환 시리즈는 우연히 흐린 밤을 마주해 불안함에서 시작된 마음이 시야의 전환을 통해

`뒤바뀐 감정을 작가만의 다양한 형식으로 화면에 담아낸 작품이다.

 

서어진은 흐린 밤 풍경에서 오는 다양한 감정을 통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색채의 덩어리들이 뭉쳐지거나 흩어지고 정확하지 않은 형태의 빛과 어두움을 통해 빛 자체로 현상한다.

작가는 흐린 밤 풍경 속, 언 듯 화면 안에 보이는 색이 입혀진 조그만 빛들과 빛의 덩어리들을 만듦으로서

관람자에게 다양한 상상을 가능하게 한다.

 

작가는 캔버스 안에서 작가가 의도한 흐릿한 밤 풍경들과 적절하게 오묘한 빛들을 나타낼 수 있는 에어브러쉬를 사용하여 정확하지 않은 형태의 빛을 표현하고, 그 빛은 노출 정도에 따라 감정에 개입하거나 자체로서 현상한다.

긍정적인 생각의 전환을 통해, 한쪽에만 시야를 두고 불안감을 떨칠 수 없는 우리에게 더 나은 세상을 바라보길 바라며,

다양한 감정의 변화를 관객이 간접적으로 경험하도록 유도한다.

 


 

Artist : 한미영

2019 단국대학교 서양화과 재학 중

 

-그룹전

2022 <다색[ ]화>, 경기내일스퀘어안산 상상대로

2022 57km, 단국대학교 예술대학 전시장

2021 제50회 구상전 공모대전, 인사아트 프라자 갤러리 4-5층 서울

2021 무생물성, 온라인 전시

2020 견뎌야하는 우리에게, 온라인 전시

 

-수상

2021. 제 50회 구상공모대전 입상

 

-기타이력

JTBC 드라마 알고있지만 그림출품

 

 

<작가노트>

 

한미영은 색채의 대비를 통해 등장하는 인물들로 화풍의 신비감을 자아내며, 존재하는 이미지를

마음에서 끌어낸다. 자신에게 사회적 질문을 던져 내면의 이야기를 문장으로 만든다.

이처럼 문장 속 존재하는 이미지를 마음에서 끌어내 옮기는 색다른 서사를 가진다.

사람들은 자기 내면을 타인의 시선으로 구축한다.

작가가 보는 현대인들은 그저 정형화된 사회에 맞추려 노력한다.

개인의 미시적 관점은 부정하는 이면적인 모습을 비판하며 문장과 상징적 요소로 제시한다.

이러한 현대인들의 현실 도피를 신화적 이미지로 비유하며 인류를 운명을 신화 그 자체로 본다.

오래전부터 인류가 그려온 신화적 상상, 전쟁과 평화, 삶의 죽음, 선과 악에 등 필요의 지식은

신화에서부터 시작하였기에, 이에 상상의 세계와 시공을 초월한 인간의 희로애락을 엮은

신화의 이미지를 얻어오게 된다.

그림 속의 미디어 매체의 등장으로, 작품마다의 개별적 이야기와 상징을 중심적인 시각을 통해

동화적 환상 속 이미지로 관객들에게 다시금 짚어 볼 수 있도록 사회적 메시지를 유도한다.

전시는 시야의 전환을 통해 뒤바뀐 감정을 작품에 나타내는 서어진과,

사회의 이면적인 내면을 신화적 이미지로 전환한다.

 

 

<작품설명>

 

한미영 작가는 색채의 대비를 통해 등장하는 인물들로 화풍의 신비감을 자아내며, 존재하는 이미지를 마음에서 끌어낸다. 자신에게 사회적 질문을 던져 내면의 이야기를 문장으로 만든다.

이처럼 문장 속 존재하는 이미지를 마음에서 끌어내 옮기는 색다른 서사를 가진다.

사람들은 자기 내면을 타인의 시선으로 구축한다.

작가는 ""의 진실한 모습은 찾기 어려운 현대의 문제점을 초현실적 이미지로 가져와

타로카드의 화풍을 통해 운명적인 사회 이면적인 모습을 통해 보여준다.

타로카드의 화풍을 선택한 이유는 작가는 현대인들의 운명론적인 사회 도피처를 타로카드로 본다.

작가가 정의하는 타로카드란 현실에서 나오는 고민을 카드를 이용해 자신의 운명을 맞추는 놀이로 시작되었다.

현대인들은 그저 정형화된 사회에 맞추려 노력한다.

개인의 미시적 관점은 부정하는 이면적인 모습을 문장으로 제시하며 개인이 바라보는 사회로 시선을 집중하여 화폭에 채워 넣는다. 작가는 대인들의 현실 도피를 신화적 이미지로 비유한다.

하지만 동시적인 의미로 보자면 작가는 인류를 운명을 그 자체로 신화로 본다.

오래전부터 인류가 그려온 신화적 상상, 전쟁과 평화, 삶의 죽음, 선과 악에 등의 필요 지식은 신화에서부터 시작하였다.

이에 상상의 세계와 시공을 초월한 인간의 희로애락을 엮은 신화의 이미지를 얻어오게 된다.

작품마다의 개별적 이야기와 재료적 특성을 통해 관객들에게 동화적 환상을 보여주어,

자신의 사회에 관한 생각의 전환을 읽을 수 있도록 유도한다.

 

 


 

[전시 작품 - 서어진]

 

시야의 전환, 2022, acrylic on canvas, 112.1 x 162.2cm
시야의 전환, 2022, acrylic on canvas, 162.2 x 112.1cm
시야의 전환 , 2022, acrylic on canvas, 91.0 x 65.2 cm
시야의 전환 , 2022, acrylic on canvas, 37.9 x 37.9 cm

 

시야의 전환 , 2022, acrylic on ccotton cloth, 90 x 130cm
시야의 전환, 2022, acrylic on canvas, 162.2 x 112.1cm
시야의 조각들 , 2021, acrylic on canvas, 31.8 x 31.8cm (12ps)

 

 

 


[전시작품 - 한미영]

 

(왼) 세번 째 사건일지 [모텔] , 2020, acrylic on paper, 257x364mm&nbsp; &nbsp;/&nbsp; &nbsp;(오) 네번 째 사건일지 [니스병] , 2020, acrylic on paper, 257x364mm
(왼)&nbsp; 첫번 째 사건일지 [가정] , 2020, acrylic on paper, 257x364mm&nbsp; &nbsp; &nbsp;/&nbsp; &nbsp; &nbsp;(오)&nbsp; 두번 째 사건일지 [군대의 밤] , 2020, acrylic on paper, 257x364mm

 

 

오아시스, 2021, mixed media on canvas. 145.4 x 103.5cm (4ps)
오아시스,&nbsp; 2021, mixed media on canvas, 145.4 x 103.5cm (4ps)
고통전달하기, 2022, 디지털 드로잉
나의 고생을 어리광처럼 보이지 않게 전할 수 있을까 , 2022, 캔버스에 혼합매체, 162.2 X 112.1cm
You won't harm anyone! , 2022, 캔버스에 혼합매체, 162.2 X 112.1 c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