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변하는 생각과 느낌을 대부분 놓쳐버리며 살아갑니다. 어쩌다 간절하게 붙잡아 어딘가에 기록 합니다. 마주할 때 스스럼 없는 기록물을 만들어냅니다.
계원예술대학교 순수미술과 중퇴 방송통신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재학
근심이라는 뜻은 '해결되지 않은 일 때문에 속을 태우거나 우울해 함.' 입니다. 우리는 행복보다는 긴 근심에 자주 노출되고는 합니다. 하지만 느껴지는 감정들을 좋다 나쁘다 평가할 수 있을까요? 저는 근심을 즐기려고 합니다. 이 근심은 알록달록하게 끊어지는 리듬과 밀려드는 우울로 파고 듭니다. 그리고 이 감정을 다뤄야 그토록 바라던 짧은 행복이 온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반드시 이것을 세상에 알리고 싶네요. 그림 속 사람은 근심이 가득하군요. 밝은 색채로 그려진 근심이 주는 느낌을 거부하지 않고, 또렷하게 느끼고 있습니다. 문제를 해결할 능력을 얻기 직전이지만, 근심을 느끼는 이 사람은 그것을 알리가 없습니다. 하지만 이를 지켜보는 제 3자는 알고 있습니다. 결국은 해내기 전 과정에 불과하다는 것을.
세상을 나를 버렸다고 생각할때가 있나요? 우습게도 모든것이 꺽이고 난 뒤에 새로운 날개가 돋고 새로운 세상으로 더 크고 힘차게 날아갈 수 있다고 합니다. 너무 흔한 이야기인가요? 한번에 모든 사람을 잃고, 모든 환경이 바뀌었을때 저의 곁에 온 강아지 '날개'입니다. 날개는 저를 달고 둥둥 그래요 날아서 딴 세상으로 왔습니다. 무슨 이야기냐고 할 수 있겠지만, 이제는 제 날개를 뺏지 못한다는 말입니다. 함께 나는 중 입니다. 살랑 살랑, 그러나 날개는 알지 못합니다. 뚱 한 표정으로 무슨 말을 하는거냐며 바라만 봅니다.
최근 '질투'에 관한 책을 읽고 있었습니다. 이 장면은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등장하는 장면 중 하나 인데요. 심심했던 불화의 여신 에리스는 사과에 "가장 아름다운 여신"에게 바치는 사과를 던져놓고는, 세 여신 (헤라, 아테나, 아프로디테가)들이 싸우도록 했습니다. 각자의 가진 능력이 다르지만 1등에 얽매여 싸우게 되며, 결국 인간 남자인 파리스에게 제일가는 여신을 선택하도록 했습니다. 이러한 선택 과정 속에서도 공정하지 않은 로비가 이뤄지며, 결국 파리스는 아프로디테를 선택하는데요. 후에 이것을 계기로 '트로이의 전쟁'이 일어나게 됩니다. 전쟁을 불러온 사과에 쓰여진 1등은 얼마나 그 가치가 필요하며 중요했던 걸까요?
집에서도 온 몸이 편히 쉰다는 느낌이 없이, 사방에서 나를 조여오는 느낌을 받을 때가 있나요?
저는 그럴때 유튜브나 재즈라디오로 랜덤 재즈곡을 틀어놓고는 합니다.
아무도 있지 않는 공간에서도 제대로 쉴 수 없을 때,
엇박의 자유로운 재즈 선율은 어딘가 편안하면서도 마음껏 흐트러져도 된다는 느낌을 줍니다. 성별과 나이, 나라와 시대를 구애 받지 않는 "재즈, 인"이 되어 봅시다.
같은 시간을 공유하고 같은 배움을 얻으며 성장하는 우리는 같은 감정을 공유하기도 다른 감정을 느끼기도 한다.
우리는 우리가 느끼는 감정에 대해 표현한다. 그리고 우리의 감정을 보는 여러분은 어떤 감정을 느끼나요?
Instagram : @emotive_7
임하은
대전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과 3학년에 재학 중이면서 타투이스트로도 활동하고 있습니다.
하고싶은 일은 해야한다 생각하여 디자이너와 타투이스트 일을 병행하며 두가지 일을 모두 열심히 하고있습니다.
2022.03. 대전대학교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재학 2021.06. 대전 시청 홍보매체 <대전열린가정삼담소> 프로보노 디자인 선정 2021.12. 대전 시청 홍보 매체 <신도꼼지락시장> 프로보노 디자인 선정 2022.05. 제 16회 대한민국 패키징 대전:KOREA STAR AWARDS 2022 <한국포장기술사회장상> 수상
Instagram @maaeum_zip E-mail dagkdms01@naver.com
작품설명
미디어가 발전하며 우리의 감정은 SNS를 통해 많이 표현한다.
부끄러움 속에는 쑥스러움, 수줍음, 수치스러움, 민망함 등 또 다양한 감정으로 나뉜다.
그리고 그런 감정들은 동그란 이모지 안에 전부 들어있다.
이모지를 통해 소통되는 다양한 부끄러움을 3D 일러스트로 통통 튀는 느낌의 그래픽포스터를 제작했다.
박수희
흔하고 평범한 디자인보다는 특별하고 새로운 디자인을 추구하며 항상 배움에 갈증을 느끼는 디자이너입니다.
2022 대전대학교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재학 2022 제31회 대전디자인공모전 3개 작품 입선 수상 2021 부사스럽게 부사 사전 레터링 참여
Instagram @sv.h99 E-mail phw9090@naver.com
작품설명
누구나 혼란에 빠지면 제대로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우왕좌왕하기 마련이다.
그러나 혼란스러울수록 한 걸음 물러서서 차분히 상황을 파악한 후 해답을 찾아야 한다.
이러한 점이 매직아이와 비슷하다고 생각했다. 매직아이는 언뜻 보았을 땐 단지 현란한 아무 의미 없는
이미지 같아 보이지만 눈을 모을 듯 말 듯 차분히 집중해서 들여다보면 마침내 숨겨진 그림을 찾아낼 수 있다.
인간의 혼란스러움도 마찬가지이다. 복잡하게 얽힌 문제 속에도 답은 반드시 존재할 것이다.
이러한 내용을 화려한 컬러들과 사이키델릭한 환각효과를 활용하여 표현했다. 센터의 눈은 혼란 속의 차분을 상징한다.
박현지
어렵고 복잡한 것보다 누구나 공감하고 이해할 만한 디자인에 관심을 가지고
편집, 브랜드, 웹 디자인 등 다양한 디자인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2022 대전대학교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재학 2022 제31회 대전디자인공모전 2개 작품 입선 수상 2020 대전시 홍보매체 프로보노 프로젝트 참여 및 <대한적십자사> 디자인 선정 2018 경희대학교 제4회 전국 고등학생 디자인 실기대회 동상
분노의 사전적 의미는 '분개하여 몹시 성을 냄' 이지만 단순히 사전적 의미로 분노라는 감정을 한정 짓기에는 우리에게
너무나 다양한 분노가 존재한다. 사람들은 슬픈 분노, 안타까운 분노, 격한 분노 등 각기 다른 다양한 분노의 감정을 느끼며 사건, 사고가 대다수 사람에게 분노를 줄 수 있다 생각을 해 이에 대해 그래픽 작업을 진행했다.
우리는 사건, 사고 소식을 뉴스, 기사 등의 매체를 통해 알게 되는 경우가 많다.
나는 직관적인 글과 사진 그리고 다양한 분노를 느끼는 듯한 표정을 활용하여 작업을 했으며
이를 자세히 관찰하고 읽어보면서 분노를 느낄 수 있도록 했다.
박서원
그래픽 작업을 통해 디자인이라는 분야를 설명하고
관심을 모으는 작업을 진행하면서 디자인적으로 삶을 소개하는 디자이너입니다.
2020 대전대학교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3학년 재학 2021 대전시 신도꼼지락시장 프로보노 프로젝트 참여 2021 대전시 새천년카 브랜드 포로보노 프로젝트 참여
Instagram @to.n.e E-mail exeo3224@naver.com
작품설명
사랑이라는 감정을 집중해서 보기 위해서는 필요한 지식이 있다.
사랑에는 많은 종류가 있는데 그 중에 4가지를 설명하고자 합니다.
성적인 에로스 사랑, 친구와의 우정의 필리아 사랑, 부모님과 자식의 스토르게 사랑, 신적인 아가페의 사랑이 있다.
이 4가지의 사랑의 종류를 통해서 각자가 생각하는 추상적인 이미지의 사랑을 감정에서 불러일으키고자 한다.
일부러 글씨를 넣지 않은 그래픽 디자인 속에서 자신이 느끼는 사랑의 감정과 종류를 생각하고 분류해보기를 바란다.
그리고 무엇보다 자신이 생각하는 사랑의 감정이 생각보다 크거나 작게 느껴질 수 있다. 집중해서 보는게 중요하다.
김유리
디자이너로서 커뮤니케이션과 조율을 우선적으로 생각하고
여러 가지 디자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다양한 경험을 쌓고 있습니다.
2022 대전대학교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재학 2021 <부사스럽게 부사 사전> 레터링 참여
Instagram @yuldl_ E-mail yuldl62@gmail.com
작품설명
사람마다 느끼는 행복은 다르다. 또한 행복이었던 일들을 모르고 그냥 지나칠 수 있다.
우리는 언제 가장 행복한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으며 지나쳤던 일들을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행복은 우리 자신에게 달려 있고 우리 자신이 찾아야 한다.
어떻게 보면 우리들의 행복은 쉽게찾을 수 없는 아주 작은 단위의 원자 같다.
작품에서 사람들의 다양한 행복을 우주 속에 떠다니는 원자같이 표현했으며 깨지고 흐려진
각각의 행복들과 타이틀은 집중해야만 읽을 수 있다.
작품에 집중해서 사람들의 다양한 행복과 타이틀을 읽어내기를 바라며 묻는다.
당신은 언제 가장 행복한가요?
이윤지
기존의 디자인보다는 다양함을 추구하는 디자이너입니다.
2020 ~ 대전대학교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재학 2020 엔클레프앙상블 정기연주회 <매혹魅惑, 피아졸라> 디자인 2021 연두출판 <부사스럽게> 타이포그래피 디자인 2022 쉬프트프로젝트 두 번째 기획전 <이어지고 있어 좋다. 여기, 지금 감호> 기획 및 전시 2022 <커디는 로딩중> 기획 및 전시 2022 <Circle Demension> 기획 및 전시